분사구문 (Participial Construction)

By | 2025-08-27
분사구문 (Participial Construction)

분사구문은 부사절(접속사와 주어, 동사로 구성된 절)을 분사를 활용하여 더 간단한 형태인 부사구로 축약한 것입니다.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의 역할을 하며, 주로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동시 동작, 연속 동작 등의 다양한 의미를 표현합니다. 분사구문은 시작하는 형태에 따라 의미와 뉘앙스가 달라지는데, 크게 현재분사(-ing)로 시작하는 경우과거분사(-ed)로 시작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분사구문 생성 규칙

분사구문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만들 수 있습니다.

  1. 부사절의 접속사 삭제: 의미를 명확히 하고 싶을 때는 접속사를 남겨둘 수도 있습니다.
  2. 주어 생략: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동일하다면 생략합니다. 만약 주어가 다를 경우 생략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데, 이를 독립 분사구문이라고 부릅니다.
  3. 동사 형태 변경:
    • 주절의 동사와 시제가 같다면 동사원형에 -ing를 붙입니다.
    • 주절보다 한 시제 앞선다면 ‘having + 과거분사(p.p.)’ 형태를 사용합니다.
    • 수동태일 경우 ‘being + p.p.’ 또는 ‘having been + p.p.’ 형태로 만들지만, ‘being’이나 ‘having been’은 보통 생략됩니다.

1. 현재분사(-ing)로 시작하는 분사구문 (능동 및 진행)

현재분사로 시작하는 분사구문은 주절의 주어가 해당 동작을 직접 수행하는 능동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진행 중인 상황을 묘사할 때도 활용됩니다.

1.1 시간 (Time): ‘~할 때’, ‘~하면서’, ‘~한 후에’

주절의 동작과 거의 동시에 발생하거나, 바로 직전에 발생한 상황을 나타내어 시간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 원문: When I walked down the street, I met my old friend.
  • 분사구문: Walking down the street, I met my old friend. (길을 걷다가, 나는 옛 친구를 만났다.)
  • 원문: As soon as she saw him, she smiled.
  • 분사구문: Seeing him, she smiled. (그를 보자마자, 그녀는 미소 지었다.)
  • 원문: After I finished my homework, I watched TV.
  • 분사구문 (완료): Having finished my homework, I watched TV. (숙제를 다 마친 후에, 나는 TV를 시청했다.)

1.2 이유 (Reason): ‘~때문에’, ‘~하므로’

주절의 내용이 발생한 원인이나 근거를 설명합니다.

  • 원문: As she felt tired, she went to bed early.
  • 분사구문: Feeling tired, she went to bed early. (피곤했기 때문에, 그녀는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1.3 조건 (Condition): ‘~한다면’, ‘~하면’

주절의 내용이 실현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합니다.

  • 원문: If you turn left, you will see the station.
  • 분사구문: Turning left, you will see the station. (왼쪽으로 돌면, 역을 보게 될 것이다.)

1.4 양보 (Concession): ‘~일지라도’, ‘~에도 불구하고’

주절의 내용과 상반되거나 예상 밖의 상황임을 표현합니다.

  • 원문: Though she admitted what he said, she still disagreed with him.
  • 분사구문: Admitting what he said, she still disagreed with him. (그녀가 말한 것을 인정했지만, 나는 여전히 그에게 동의하지 않는다.)

1.5 동시 동작 (Simultaneous Action): ‘~하면서’, ‘~한 채로’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동시에 일어날 때 사용하며, 주로 주절 뒤에 위치해 부수적인 상황을 덧붙입니다.

  • 원문: He sat on the sofa while he was reading a book.
  • 분사구문: He sat on the sofa, reading a book. (그는 소파에 앉아서, 책을 읽고 있었다.)

1.6 연속 동작 (Consecutive Action): ‘그리고 ~했다’

하나의 동작이 완료된 후 이어서 다른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며, 주로 주절 뒤에 위치합니다.

  • 원문: She opened the door and smiled brightly.
  • 분사구문: She opened the door, smiling brightly. (그녀는 문을 열었고, 그리고 활짝 웃었다.)

2. 과거분사(-ed)로 시작하는 분사구문 (수동 및 완료)

과거분사로 시작하는 분사구문은 주절의 주어가 해당 동작을 받는 수동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이미 완료된 상태를 강조할 때도 사용됩니다. 원래 ‘being + p.p.’‘having been + p.p.’ 형태에서 ‘being’ 또는 ‘having been’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1 시간 (Time): ‘~되었을 때’, ‘~해진 후에’

주절의 동작 이전에 어떤 일이 수동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원문: When the book was written in English, it sold well in many countries.
  • 분사구문: (Being) written in English, the book sold well in many countries. (영어로 쓰였기 때문에, 그 책은 많은 나라에서 잘 팔렸다.)

2.2 이유 (Reason): ‘~되었기 때문에’, ‘~해졌으므로’

주절의 내용이 발생한 수동적인 원인을 설명합니다.

  • 원문: Because she was surprised by the news, she couldn’t speak.
  • 분사구문: (Being) surprised by the news, she couldn’t speak. (그 소식에 놀랐기 때문에, 그녀는 말할 수 없었다.)

2.3 조건 (Condition): ‘~된다면’, ‘~해진다면’

주절의 내용이 실현되기 위한 수동적인 조건을 제시합니다.

  • 원문: If water is heated, it turns into steam.
  • 분사구문: (If) heated, water turns into steam. (가열된다면, 물은 증기로 변한다.)

2.4 양보 (Concession): ‘~되었을지라도’,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절의 내용과 대조되거나 예상 밖의 상황임을 수동적인 의미로 표현합니다.

  • 원문: Although he was born rich, he worked very hard.
  • 분사구문: (Having been) born rich, he worked very hard. (부자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우 열심히 일했다.)

2.5 동시 동작 (Simultaneous Action)

과거분사로 시작하는 분사구문은 주로 ‘어떤 상태가 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 동작에 사용됩니다. 현재분사처럼 명확하게 순차적인 동작을 나타내기보다는, 주절의 동작과 함께 발생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원문: He stood there while he was lost in thought.
  • 분사구문: He stood there, lost in thought. (그는 생각에 잠긴 채로 서 있었다.)

분사구문은 문맥에 따라 의미가 유연하게 해석되므로, 사용된 동사와 주절의 주어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