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개요
- 품사: 구동사 (phrasal verb)
- 형태: cash in on + 명사
- 발음: /kæʃ ɪn ɒn/ (미: /kæʃ ɪn ɑːn/)
- 핵심 의미:
(상황·유행·타인의 성과를) 이용해 돈을 벌다 / 이익을 취하다
보통 기회주의적 또는 부정적 뉘앙스가 섞여 있습니다.
다만 맥락에 따라 단순히 “상황을 잘 활용하다”는 중립적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 capitalize on, profit from, monetize)
2. 어원과 기본 이미지
‘cash in’은 원래 칩·보험·쿠폰을 현금으로 바꾸다는 뜻에서 출발했습니다.
여기에 on ~이 붙으면서 “어떤 상황을 이용해 이익을 챙기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즉,
👉 상황을 ‘현금화(cash in)’하다 → 기회를 통해 돈을 벌다
의 개념입니다.
3. 문법 포인트
| 항목 | 설명 |
|---|
| 형태 | cash in on + 명사 (분리 불가) |
| 주어 | 사람, 기업, 조직 |
| 대상 | 유행, 사건, 성과, 위기 등 |
| 시제 변형 | cashed in on / is cashing in on / will cash in on |
| 수동형 | be cashed in on 가능하지만 드뭄 |
예시:
- Several brands tried to cash in on the viral trend.
→ 여러 브랜드가 바이럴 트렌드를 이용해 이익을 얻으려 했다.
4. 예문으로 이해하기
- Scammers cashed in on the confusion after the outage.
→ 사기꾼들이 서비스 장애 이후의 혼란을 악용했다.
- The studio is cashing in on nostalgia with a reboot.
→ 그 영화사는 리부트를 통해 향수를 이용해 돈을 벌고 있다.
- Local hotels cashed in on the marathon weekend.
→ 지역 호텔들이 마라톤 주말을 틈타 매출을 올렸다.
- Critics say the firm cashed in on the crisis.
→ 평론가들은 그 기업이 위기를 이용했다고 말한다.
- They refused to cash in on the tragedy — proceeds went to charity.
→ 그들은 비극을 이용하지 않고, 수익을 전액 기부했다.
5. 자주 쓰는 콜로케이션
| 형태 | 예시 |
|---|
| cash in on a trend / craze / hype / boom | 유행이나 열풍을 활용하다 |
| cash in on a crisis / tragedy / panic | 위기나 비극을 악용하다 |
| cash in on someone’s fame/name | 타인의 명성을 이용하다 |
| try/seek/attempt to cash in on | ~을 이용하려 하다 |
| be eager/quick to cash in on | 재빨리 돈벌이로 연결하다 |
6. 비슷한 표현 비교
| 표현 | 의미 | 뉘앙스 |
|---|
| capitalize on | 기회를 활용하다 | 중립·격식체 |
| profit from | 이익을 얻다 | 중립적, 다소 냉정한 어감 |
| leverage | 자원·상황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다 | 비즈니스적 |
| exploit | 착취하다, 악용하다 | 강한 부정적 의미 |
| monetize | 수익화하다 | 기술·비즈니스 맥락 |
| milk (비격식) | 우려먹다, 쥐어짜다 | 부정적·구어체 |
7. cash 관련 주요 표현
| 표현 | 의미 | 예문 |
|---|
| cash in | (칩·주식·보험 등) 현금화하다 | She cashed in her shares. |
| cash out | 투자에서 돈을 빼다, 청산하다 | He cashed out before the crash. |
| cash up (BrE) | 마감 정산하다 | The manager cashed up at closing time. |
| cash a check/cheque | 수표를 현금으로 바꾸다 | He cashed a cheque at the bank. |
| cash-strapped / cash-poor | 현금 부족한 | The company is cash-strapped right now. |
8. 사용 시 주의점
- 위기·비극(crisis, tragedy)과 함께 쓰이면 비도덕적 뉘앙스가 강함.
→ “기회를 노려 돈을 벌다”로 비판적 어조.
- 마케팅·보도 기사체에서 흔히 쓰임.
예: “브랜드가 유행을 틈타 수익을 올리다.”
9. 추가 비교 예시
| 문장 | 의미 차이 |
|---|
| The company capitalized on the new trend. | 트렌드를 활용했다 (중립) |
| The company cashed in on the new trend. | 트렌드를 이용해 돈벌이했다 (약간 비판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