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 예시
They’re giving you a bit of a grace period, right?
→ “지금 너한테 약간의 유예 기간을 주고 있는 거지?”
기본 정보
품사: 명사구 (가산)
발음: /ˈɡreɪs ˌpɪəriəd/ (AmE /ˈɡreɪs ˌpɪriəd/)
뜻:
마감일이 지나도 벌금이나 불이익 없이 허용되는 기간, 즉 유예 기간
의미 감각
- grace = ‘호의, 관용, 은혜’ (라틴어 gratia)
- grace period는 곧 “관용으로 주는 시간”, 즉 공식 기한 뒤 잠시 숨 돌릴 수 있는 여유를 뜻합니다.
주요 쓰임
| 상황 | 예시 | 설명 |
|---|---|---|
| 청구·납부 | a 21-day grace period | 카드 대금·요금 청구 후 21일간 무이자 납부 가능 |
| 대출·학자금 | a six-month grace period after graduation | 졸업 후 6개월 유예 후 상환 시작 |
| 보험/세금/월세 | a 3-day grace period before a late fee applies | 연체료 부과 전 3일간 허용 |
| 비자/체류 | a 30-day grace period after visa expiry | 비자 만료 후 30일간 체류 허용 |
| 소프트웨어/구독 | a short grace period before suspension | 구독 만료 후 잠시 더 사용 가능 |
💡 a bit of a grace period = “조금의 유예기간” — 완곡하게 표현할 때 자주 씀.
비슷한 표현
| 표현 | 의미 | 차이점 |
|---|---|---|
| leniency / leeway | 관용, 융통성 | 시간보다는 ‘태도’ 강조 |
| extension | 마감 연장 | 공식 기한을 뒤로 미룸 |
| grace period | 유예 기간 | 기한은 그대로, 벌칙만 유예 |
| moratorium | (공식적) 일시 중단 | 정부·기관 차원의 조치에서 자주 사용 |
함께 쓰이는 동사·전치사
- grant / allow / offer / extend a grace period
- within / during the grace period — 유예 기간 중
- past / beyond the grace period — 유예 기간이 지난 후
- a X-day grace period / a grace period of X days
예문
- The landlord gives a three-day grace period before charging a late fee.
→ 집주인은 연체료 부과 전 3일의 유예기간을 준다. - You’re still within the grace period, so there’s no penalty.
→ 아직 유예 기간 안이라 벌금이 없어. - After graduation, there’s a six-month grace period on the loan, but interest may accrue.
→ 졸업 후 6개월 유예기간이 있지만, 이자는 붙을 수 있다. - They extended the grace period until November 10.
→ 그들은 유예 기간을 11월 10일까지 연장했다.
한 줄 정리
grace period = “기한 이후에도 관용으로 허용된 기간.”
마감은 그대로 두되, 벌칙 없이 잠시 더 유예되는 시간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