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lty as charged: 의미, 쓰임, 뉘앙스 한 번에 정리

By | 2025-11-02
guilty as charged: 의미, 쓰임, 뉘앙스 한 번에 정리

일상 대화에서 누가 가볍게 지적하거나 장난 섞인 “고발”을 할 때, “맞아요, 인정합니다”를 재치 있게 말하고 싶다면 guilty as charged가 딱 맞습니다. 법정 표현 “기소된 대로 유죄”가 원뜻이지만, 일상에서는 셀프디스 + 솔직한 인정의 톤으로 씁니다.

뜻 · 품사 · 발음

  • 품사: 관용구(문장 단독 사용 가능)
  • 발음: /ˈɡɪlti æz tʃɑːrdʒd/
  • 의미: 상대의 지적을 쿨하게 인정할 때 쓰는 말
    예: “너 야식 너무 자주 먹지?” — “Guilty as charged.

참고 자료

형태 · 문법 포인트

  • 독립절 형태로 단독 사용: Guilty as charged.
  • 1인칭 변형: I’m guilty as charged.
  • charged는 동사 **charge(기소하다)**의 과거분사
    → “네가 방금 제시한 ‘죄목’에 대해 유죄 인정!”

뉘앙스 & 적절한 상황

  • 분위기: 가볍고 유머러스. 상대의 지적에 방어 대신 위트를 선택하는 말
  • 사용 장면: 친구·동료 간 농담, 사소한 습관 지적, 취향 폭로 등
  • 피해야 할 문맥: 실제 범죄·도덕적 비위처럼 무거운 사안
  • 부정형은 드뭄. 굳이 부정하려면 장난스럽게 Not guilty. 정도

회화에서 바로 쓰는 패턴

  • “X 하지?” — “Guilty as charged.
  • “네 말이 맞아, 인정” — “I’m guilty as charged.
  • “맞아요, 제가 그랬어요” — “Guilty as charged, I did.”

미니 대화 예시

  1. 시간 약속
    A: You’re always cutting it close, huh?
    B: Guilty as charged. I’ll leave earlier next time.
  2. 업무 습관
    A: You check Slack every five minutes.
    B: Guilty as charged. I’m working on better boundaries.
  3. 취향 폭로
    A: You’re a sci-fi nerd, aren’t you?
    B: Guilty as charged.
  4. 간식
    A: Who emptied the cookie jar?
    B: Guilty as charged. Couldn’t resist.

비슷한 표현과 뉘앙스 차이

  • You got me. / You got me there. 들켰다, 한 방 먹었다(가볍고 장난기)
  • Can’t deny it. / Fair enough. 부인 못 한다(담담, 중립)
  • That’s on me. / My bad. 책임 인정·사과에 초점
  • I plead guilty. 법정 어휘를 장난스럽게 변형(톤은 비슷하나 더 과장됨)

추가 비교: charge의 법률용례

자연스럽게 쓰는 팁

  • 한마디로 툭: 짧게 말할수록 효과적
  • 후속 액션 덧붙이기: 인정 + 개선 의지
    • Guilty as charged. I’ll set two alarms.
    • Guilty as charged, but I’m cutting down this month.

연습: 말바꾸기 퀵 드릴

  • “부인 못 해.” → Can’t deny it. → 톤 업: Guilty as charged.
  • “맞아요, 제가 했어요.” → I did. → 재치 있게: Guilty as charged.
  • “내 잘못이야.” → My bad. → 장난기 있게: Guilty as charged.

체크리스트

  • 농담·가벼운 지적 → Guilty as charged
  • 과한/무거운 이슈 → 피하거나 다른 표현 사용
  • 짧고 재치 있게, 필요하면 후속 문장으로 액션 제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