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knock-off가 ‘모조품·짝퉁’의 뜻을 갖게 된 이유는, 동사구 knock off의 의미 확장에서 비롯됩니다. 즉, “무언가를 툭 떼어내다 → 대충 베끼다 → 베낀 물건”이라는 자연스러운 의미 발전이 있었던 거죠.
어원과 기본 의미
발음
- 영국식: /ˈnɒk ˌɒf/
- 미국식: /ˈnɑːk ˌɔːf/
품사 구분
- 명사: a knock-off → 모조품, 짝퉁
- 형용사: knock-off N → 모조 ~ (예: a knock-off watch)
- 동사구: knock off → 다양한 구동사 표현
1. 원형: knock off (동사)의 다양한 쓰임
knock(툭 치다) + off(분리, 떨어짐) 조합으로, “툭 건드려 떨어뜨리다”에서 출발했습니다. 이후 19~20세기 미국 속어에서 여러 뜻으로 확장되었죠.
| 의미 | 예문 | 해석 |
|---|---|---|
| 일을 ‘뚝’ 끊다 | Let’s knock off at five. | 다섯 시에 마치자. |
| 값을 ‘툭’ 깎다 | Can you knock $10 off? | 10달러만 깎아 줄래? |
| 강도짓하다 | They knocked off a store. | 가게를 털었다. |
| 사람을 해치우다 | He was knocked off by the gang. | 그는 갱단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 대충 해치우다 | She knocked off a report in an hour. | 그녀는 한 시간 만에 보고서를 뚝딱 써냈다. |
| (남의 것을) 베끼다 | They knocked off the design. | 그들은 그 디자인을 베꼈다. |
→ 공통된 이미지는 “힘 안 들이고 툭 해치우는 행동”입니다.
2. ‘베끼다’에서 ‘모조품’으로
공장이나 디자인 업계에서 knock off (a copy)가 “원본을 대충 베껴서 하나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이다가,
이제는 그 결과물 자체(즉, ‘베낀 물건’)를 가리키게 되었습니다.
➡️ a knock-off = 베껴 급히 만든 것 → 짝퉁
이는 동사 → 명사로의 자연스러운 의미 변화(명사화)입니다.
3. 표기 형태
- knock-off: 하이픈 형태 (특히 영국식)
- knockoff: 붙여 쓰는 형태 (미국식에서 흔함)
- 동사구는 띄어 써야 합니다: to knock off something
4. 유사어 구분
| 표현 | 의미 | 뉘앙스 |
|---|---|---|
| counterfeit | 위조품(상표까지 복제) | 법적으로 불법, ‘속이려는 의도’ 포함 |
| knock-off | 디자인 모방품 | 일상적·구어체, 다소 가벼운 느낌 |
| fake / phony | 가짜, 허위의 | 광범위한 의미, 구어적 |
| replica | 정품사가 만든 복제품 | 긍정적 뉘앙스 가능 |
| dupe | 저가 대체품 | 패션·뷰티 업계에서 자주 사용, 불법 뉘앙스 약함 |
5. 예문으로 정리
- This looks like a knock-off of the new sneakers.
→ 이건 새 운동화의 짝퉁 같아. - They’re selling knock-off bags at a fraction of the price.
→ 그들은 가격의 일부만 받고 모조 가방을 판다. - The brand sued a company for knocking off its design.
→ 그 브랜드는 디자인을 베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6. 헷갈리기 쉬운 관련 표현
| 표현 | 뜻 | 구분 포인트 |
|---|---|---|
| rip-off | 바가지, 사기 가격 | ‘짝퉁’이 아니라 ‘너무 비싼 것’ |
| spin-off | 파생작, 계열사 | knock-off와 무관 |
| knock-on effect | 연쇄 효과 | 주로 영국식 |
| knock-off time | 퇴근 시간 (AUS/NZ) | ‘일 끝내다’ 의미의 knock off에서 유래 |
핵심 요약
a knock-off는 “툭 베껴 해치운 결과물”을 뜻하는 knock off의 동사 표현이
명사화되며 ‘짝퉁, 모조품’의 의미로 굳어진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