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에서 “That’s putting it mildly.” 또는 “…, to put it mildly.”는
실제보다 매우 완곡하게 말했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즉, 현실은 훨씬 심한데 말은 부드럽게 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좋게 말해도 ~한 거야”, “점잖게 표현한 거야”, “그건 아주 순하게 말한 거야”,
“약하게 말해도 그렇다” 정도로 자연스럽게 옮길 수 있습니다.
의미와 뉘앙스
이 표현은 아이러니와 강조의 효과를 모두 갖습니다.
즉, 듣는 사람에게 “지금 말한 건 순화된 버전이야, 실제는 훨씬 심해”라는 메시지를 전하죠.
- 아이러니 / 강조
→ He was rude—to put it mildly
“그 사람, 예의 없었어—좋게 말해도 그 정도야.” - 완곡한 비판
→ 직접적으로 공격하지 않고, “사실 훨씬 더 나쁘다”는 의미를 암시합니다. - 구어체 느낌
→ 일상 대화, 기사 논평, 칼럼 등에 자주 등장합니다.
논문이나 공식 보고서에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문법적 형태와 위치
이 표현은 문장 전체를 평가하는 부가절 형태로 쓰입니다.
- 문장 끝에 붙는 경우 That report was a mess, to put it mildly.
“그 보고서는 엉망이었어, 좋게 말해도 그렇지.” - 독립된 문장으로 사용 A: It was inconvenient.
B: That’s putting it mildly.
“그건 점잖게 말한 거야.” (→ 실제로는 훨씬 불편했다는 뜻)
🔎 put = “표현하다”
🔎 mildly = “부드럽게, 순하게”
비슷한 표현들
| 표현 | 의미 | 뉘앙스 |
|---|---|---|
| That’s an understatement. | 너무 약하게 말한 거야 | 좀 더 직접적, 문어체 가능 |
| to say the least | 적어도 그 정도야 | 덜 공격적, 약한 버전 |
| and that’s being generous | 그건 너무 좋게 봤어 | 상대 평가에 비판적 느낌 |
| to put it bluntly |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 반대 개념, 돌려 말하지 않음 |
예문
- Calling it “a delay” is putting it mildly—we lost six months.
“그걸 ‘지연’이라고 하는 건 순화된 표현이야—우린 6개월을 날렸어.” - Her comment was inappropriate, to put it mildly.
“그녀의 발언은 좋게 말해도 부적절했어.” - A: The meeting was long.
B: That’s putting it mildly. We were there for five hours.
“그건 순하게 표현한 거야. 다섯 시간이나 있었거든.” - Saying he’s “confident” is putting it mildly—he’s downright arrogant.
“그를 ‘자신감 있다’고 하는 건 약하게 말한 거지—거의 오만해.”
사용 팁과 주의사항
- 비판·불만 상황에서 특히 자연스럽습니다.
긍정적인 맥락에서는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 이미 강한 어휘와 함께 쓰면 과장된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예: It was absolutely terrible—to put it mildly. (다소 과함) - 문장부호는 쉼표(,)나 대시(—)로 연결하거나,
별도의 문장으로 분리해서 사용합니다.
핵심 요약
“지금 말한 건 순한 버전이에요. 실제는 훨씬 심해요.”
라는 의미를 점잖게 전달할 때 쓰는 표현:
That’s putting it mildly / to put it mildly